안녕하세요, 대표님 :)
청년을 채용하고 계신가요?
2025년부터는 청년 1명 채용만으로도 연 최대 720만 원,
장기근속 시 청년에게는 최대 48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.
지원 대상도, 신청 방법도
예전보다 훨씬 명확하고 간편해졌습니다.
오늘의 콘텐츠 미리보기
•
2025년 도입된 새로운 청년고용 장려금 2가지 유형
•
기업과 청년 각각 받을 수 있는 금액과 조건
•
지원 제외 대상과 신청 시 꼭 알아야 할 유의사항
청년일자리 도약장려금이란?
청년 채용을 촉진하고,
기업 인력난 해소를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2025년에는 장기근속 인센티브가 신설되어
기업과 청년 모두에게 실질적 혜택이 돌아가도록 개편됐습니다.
어떤 기업이 받을 수 있나요?
어떤 청년이 대상인가요?
지원 유형과 금액은 어떻게 나뉘나요?
유형 I: 취업애로청년 채용 시
•
기업에 최대 720만 원 지원 (1년간 월 60만 원)
•
청년 인센티브 없음
유형 II: 제조업 등 빈일자리 업종 채용 시
•
기업에 최대 720만 원 동일 지원
•
청년에게 장기근속 시 추가 480만 원 지급
(18개월/24개월 근속 시 각 240만 원)
요약 정리
구분 | 기업 지원금 | 청년 지원금 | 지원 조건 |
유형 I | 월 60만 원 × 12개월 = 720만 원 | 없음 | 6개월 이상 고용 유지 |
유형 II | 월 60만 원 × 12개월 = 720만 원 | 18·24개월 근속 시 각 240만 원, 최대 480만 원 | 6개월 이상 고용 + 장기근속 |
공통 요건 | 정규직 채용 + 4대 보험 가입 | 고용보험 이력 無 또는 중단 상태 |
신청은 어떻게 하나요?
꼭 확인하세요
•
채용일 기준 3개월 전부터 감원 없었는지 확인
•
기업과 청년 모두 신청해야 혜택 적용
•
중도퇴사 시 지원금 환수될 수 있음
•
이미 채용된 직원은 지원 대상 아님
지금 청년 채용하셨다면?
이번 기회에 꼭 확인해보세요.
청년 1명 채용만 해도,
최대 720만 원 + 480만 원 인센티브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