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, 대표님 :)
육아휴직이나 출산휴가로 인한 업무 공백이 부담되셨던 적 있으신가요?
2025년부터는
대체인력을 새로 채용하거나,
기존 직원이 공백 업무를 나눠 맡기만 해도
최대 월 120만 원까지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오늘의 콘텐츠 미리보기
•
육아휴직·출산휴가 등 공백 시 받을 수 있는 2가지 지원금
•
대체인력 채용 / 기존 직원 분담에 따른 지원 방식
•
지원 대상, 요건, 금액까지 정확하게 정리
•
신청 방법과 유의사항까지 한 번에 확인
육아휴직 대체인력 지원금
육아휴직이나 출산휴가 등으로 인한 공백을 메우기 위한 인력 채용 시 지원
•
중소기업 또는 우선지원대상기업
•
육아휴직, 출산전후휴가,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
30일 이상 부여한 경우
•
공백 발생 전 2개월 이내 대체인력 채용
•
대체인력 30일 이상 고용 지속
•
4대보험 가입 필수
구분 | 금액 (월 기준) |
인수인계 기간 (최대 2개월) | 월 120만 원 (대기업: 30만 원) |
채용 지속 기간 | 월 80만 원 (대기업: 30만 원) |
육아휴직 업무분담 지원금
기존 근로자가 육아휴직자 업무를 나눠 맡는 경우에도 지원 가능
•
육아휴직, 출산휴가,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등으로
공백 업무를 기존 인원이 분담한 사업장
•
분담 내용이 명확히 기재되어 있고
•
분담 인력에게 추가 임금 지급이 이루어진 경우
•
분담 근로자 1인당 월 최대 40만 원
요약 정리
항목 | 대체인력 지원금 | 업무분담 지원금 |
대상 기업 | 중소기업, 우선지원대상기업 | 모든 기업 가능 |
지원 조건 | 육아휴직 등 30일 이상 + 대체인력 채용(30일 이상) | 기존 직원이 공백 업무를 분담하고 임금 추가 지급 |
지원 금액 | 월 최대 120만 원 | 월 최대 40만 원 |
특이사항 | 인수인계 기간도 동일 금액 지원 | 명확한 업무 분담 근거 필요 |
신청은 이렇게 하세요
•
장려금 신청서
•
대체인력 근로계약서, 임금대장
•
기존 직원 업무분담 내용 및 임금 증빙 등
꼭 확인하세요
•
대체인력은 육아휴직 시작 전 2개월 이내 채용 필요
•
30일 이상 고용 및 4대보험 가입 필수
•
지원금은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음
•
공공기관 및 임금체불 사업장 등은 제외
지금 육아휴직 중인 직원이 있다면?
대체인력을 채용하셨거나,
공백 업무를 기존 직원이 분담하고 있다면
지금 바로 확인하셔야 합니다.
놓치면 아까운 최대 월 120만 원의 지원 혜택,
지금 확인해보세요!